요즘 TV,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전자 기기를 통해 여가시간을 보내는 자녀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녀들에게 TV를 보게 해야할까? 부모로서 이러한 사태를 지켜보며 자녀들에게 TV를 계속 보게 해야 할까요? 자녀들이 TV를 계속 시청할 시에 장단점은 과연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장점
- EBS와 같은 교육 및 교양 프로그램은 자녀들에게 좋은 시청각 교육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문자, 숫자, 외국어 등을 자연스레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 야생동물 및 자연에 관한 다큐멘터리 쇼는 아이들에게 훌륭한 지식의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 자연현상을 관찰하며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할 순 없어도 야생 동물을 보는 것 자체에 매료가 되어 호기심을 키울 수 있습니다.
- 간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평소 알지 못했던 다른 국가, 인종 및 문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벗어나 평소 경험하지 못한 것들을 알게 해 줍니다.
- 다양한 스포츠 경기 영상을 접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 경기를 시청하며 자연스레 종목과 게임 규칙을 알게 되며 자녀들의 신체활동에 동기부여를 줍니다.
- 자녀들이 재미있는 예능프로그램을 보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부모와 헤어질 때, 애완동물을 잃거나 혼자 있을 때 등 스트레스를 받으며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단점
- 어떤 연구에 따르면 24개월 미만의 자녀들에게는 TV 쇼를 시청하는 것이 교육점 이점이 없다고 합니다. TV를 보는 것은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되는 활동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 TV 시청에 중독이 될 수 있습니다. 신체적인 활동이 줄어들며 여가시간에 계속 TV시청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녀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아이들의 시력이나 나빠질 수 있습니다. 장시간 화면을 보고 있는 것은 눈에 피로함을 주며 시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TV 프로그램, 게임 및 광고 등 연령에 적합하지 않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어 부적절한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자녀들에게 유익하지 않습니다.
- 자녀들이 TV에 나오는 장면을 따라 할 수 있습니다. 자극적이거나 해로운 장면을 따라 한다면 이는 자녀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 일부 전문가들은 장시간 TV 화면을 보는 것이 어린이의 언어발달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 친구들과 어울리거나 노는 것보다 TV 화면을 오래 보는 것은 자녀들의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 아이들의 신체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TV 시청이 오래 지속되면 밖에서 운동을 하거나 신체를 단련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줄어들어 유대관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댓글